2025.04.01 - [주목되는 사회 이슈] - D - DAY의 명칭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25.04.01 - [함께 공부하는 경제지식] - 환율 - 돈의 가치를 놓고 싸우는 전쟁
주가지수는 세계 경제와 역동성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이다
1. 주가지수
주가지수는 특정국가에 상장된 주요 주식의 묶음의 변동을 따라 움직이며
그 나라의 금융시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하나의 숫자로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S∝P500, 닛케이 225, FTSE100 같은 이름은 경제언론의 머리기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는 지수를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2.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해당지수에 포함된 모든 기업의 가치를 합한 것이며
지수에는 보통 가치가 높은 상위 250-2000개 상장기업이 들어간다.
투자자는 지수 자체를 주식처럼 매매할 수 없으며
지수에 포함된 모든 기업의 주식을 하나씩 사는 것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든다.
하지만 패시브 상장지수 펀드(이하 ETF)라는 금융상품은 지수에 포함된 주식들로
시장가치에 비례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지수의 움직임을 추종한다
3. 시장의 거래자
시장의 거래자들은 전 세계 시장을 선진시장, 신흥시장, 프런티어 시장으로
나누는 모건스텐리 캐피털 인터내셔널(이하 MSCI)의 분류를 활용해
세계 경제를 평가한다.
MSCI 지수는 주식 투자와 관련된 안정성, 보완, 위험 수준을 근거로
국가를 구분하며, 그 안에서 국가별 개별기업은 시가총액, 거래금액, 투명경영
사업의 글로벌 영향력, 재무적 안정성 등을 심사하여 편입을 결정한다.
4. 금융위기와 시장의 회복
2008년 금융위기 발생 후에 선진시장은 가장 빠른 회복속도를 보여
2014년에는 2007년 전고점을 넘어섰다.
프런티어 시장은 2008년 침체 이후 지금까지도 회복하지 못하고
잇는 국가도 많이 있다
5 ,2010년 이후 지수를 이끄는 종목
미국을 비롯한 네덜란드 , 홍콩 등 선진시장에서 가장 비중이 큰 부분은
기술기업(첨단 테크) 반도체와 관련된 첨단 기술 기업을 보유한 기업이
추세를 이끌었으며 , 신흥시장에서는 기술 비중이 낮은 2차 산업과 유통산업이
국가의 지수를 이끌었다.
대한민국은 아직도 신흥시장에 머물러 있다.
늘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함께 공부하는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조를 움직이는 사람들 - 사모펀드-1 (2) | 2025.04.03 |
---|---|
MSCI 지수란 무엇인가? (9) | 2025.04.02 |
환율 - 돈의 가치를 놓고 싸우는 전쟁 (5) | 2025.04.01 |
앙드레 코스톨라니 -달걀이론 (5) | 2025.03.31 |
주식투자를 하면서 읽었던 책들 (8) | 2025.03.30 |